게시판
글쓴이 이준
제 목 제주에 정착인구가 늘고있다.
첨부파일  
내용보기 제주도, 1분기 순유입 인구 1864명… 전년 동기 대비 83.5% 증가

제주도는 올해 1분기 현재 순유입 인구는 1864명으로 전년동기 1016명 대비 83.5%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도는 지난 2009년도까지는 제주도 순유입 인구가 매년 1000~3000명 가량 감소했었는데, 2010년부터는 매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시 지역은 총 1125명(0.26%)이 증가했다. 노형동 238명, 애월읍 153명, 조천읍 136명, 이도2동 124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귀포시 지역은 총 739명(0.48%)이 증가했는데 대륜동 98명, 성산읍 89명, 표선면 80명, 안덕면 76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주민인구대비 순유입 인가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대륜동, 예래동, 대천동 등의 순이다.

이와 관련 제주도는 제주정착주민 정주여건을 국제자유도시에 걸맞게 개선하기 위해 종합대책 마련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선, 도는 지난달부터 전문가와 공무원이 함께하는 '정착주민 저주여건 개선방안 연구 태스크포스팀'을 가동했다.

이어 도민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키 위해 다음달 20일까지 도 홈페이지와 읍면동 주민센터에 제주정착주민 정주여건 개선방안 도민제안센터를 운영한다.

도는 접수된 제안을 포함해 태스크포스팀에서 발굴된 과제는 5월주에 전문가와 정착주민이 참여하는 워크숍을 통해 최종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오는 7월까지 목표로 정착주민관련 전담조직을 설치, 운영해 부서별로 다원화된 이주민 관련 정책들을 통합해 종합적으로 실행하고 행정시와 읍면동 정착지원센터와 유기적인 원스톱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정착주민 중심으로 민간주도의 커뮤니티를 구성토록 유도, 행정기관과 함께 민.관 협력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해 제주이주민의 정착을 입체적으로 지원할 방안이다.

7월부터는 제주 이주민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주 융화프로그램을 본격 실행키 위해 제주문화이해 과정을 개설해 제주 문화와 제주어 배우기 등 프로그램을 운영해 나간다.

도 관계자는 "제주로 사람이 물리는 이유가 탈(脫)산업화 시대를 맞아 다시 농촌으로 희귀하는 이도향촌(移都鄕村)현상이 전국적으로 트렌드가 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영어교육도시 내 국제학교, 투자진흥지구 개발사업과 관련으로 유입인구가 증가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종합대책이 마련되면 정착주민 관련 다양한 정책들을 종합적이고 집중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이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제주도는 올해 1분기 현재 순유입 인구는 1864명으로 전년동기 1016명 대비 83.5%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도는 지난 2009년도까지는 제주도 순유입 인구가 매년 1000~3000명 가량 감소했었는데, 2010년부터는 매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시 지역은 총 1125명(0.26%)이 증가했다. 노형동 238명, 애월읍 153명, 조천읍 136명, 이도2동 124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귀포시 지역은 총 739명(0.48%)이 증가했는데 대륜동 98명, 성산읍 89명, 표선면 80명, 안덕면 76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주민인구대비 순유입 인가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대륜동, 예래동, 대천동 등의 순이다.

이와 관련 제주도는 제주정착주민 정주여건을 국제자유도시에 걸맞게 개선하기 위해 종합대책 마련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선, 도는 지난달부터 전문가와 공무원이 함께하는 '정착주민 저주여건 개선방안 연구 태스크포스팀'을 가동했다.

이어 도민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키 위해 다음달 20일까지 도 홈페이지와 읍면동 주민센터에 제주정착주민 정주여건 개선방안 도민제안센터를 운영한다.

도는 접수된 제안을 포함해 태스크포스팀에서 발굴된 과제는 5월주에 전문가와 정착주민이 참여하는 워크숍을 통해 최종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오는 7월까지 목표로 정착주민관련 전담조직을 설치, 운영해 부서별로 다원화된 이주민 관련 정책들을 통합해 종합적으로 실행하고 행정시와 읍면동 정착지원센터와 유기적인 원스톱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정착주민 중심으로 민간주도의 커뮤니티를 구성토록 유도, 행정기관과 함께 민.관 협력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해 제주이주민의 정착을 입체적으로 지원할 방안이다.

7월부터는 제주 이주민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주 융화프로그램을 본격 실행키 위해 제주문화이해 과정을 개설해 제주 문화와 제주어 배우기 등 프로그램을 운영해 나간다.

도 관계자는 "제주로 사람이 물리는 이유가 탈(脫)산업화 시대를 맞아 다시 농촌으로 희귀하는 이도향촌(移都鄕村)현상이 전국적으로 트렌드가 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영어교육도시 내 국제학교, 투자진흥지구 개발사업과 관련으로 유입인구가 증가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종합대책이 마련되면 정착주민 관련 다양한 정책들을 종합적이고 집중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이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제주투데이>